식품안전나라 누리집에서 ‘움직이는 카드뉴스’ 등 시범 운영 서비스 인공지능으로 문자를 음성 콘텐츠로 변환…주요 정보 쉽게 이해하도록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에게 식품안전뉴스 정보를 문자를 음성 콘텐츠로 변환해 지원한다. 또한 식품 안전 데이터 등 주요...
언론보도
전체 게시물 수 : 489개, 전체 49 페이지 중 현재 6 페이지

장애인인권센터에서는 매년 공공기관 웹접근성 인증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있다. 편의시설은 시설주가 민간인이라 하더라도 건축물 준공허가를 받으려면 적합성 검사를 받아야 하고, 공공기관 건축물이라면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 심사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하지만 웹접근성 인증...
국립중앙박물관이 정부의 국정과제 ‘일상이 풍요로워지는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을 위해 추진해 온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서비스를 13일부터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은 인공지능 기반의 키오스크와 이와 연계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중앙박물...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도입은 우리 사회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산업의 고도화에 중점을 두던 시기에는 효율적인 생산방법을 연구하고 개선하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의 등장은 우리 사회의 모습을 변화시켰다. 아날로그 데이터와 프로세스를 디지털로 기술로 연결하고 이를...
LG전자가 장애인 고객의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모두에게 편리한 제품과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전국 130여 개 서비스센터 내 고객 접수용 키오크스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디지털휴먼 수어 서비스 도입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 2021년 서비스 수어...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분야에 관계없이 전 영역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국, 현대사회에서 인터넷의 활용과 접근은 우리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보인권이라는 말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정보통신기술에 의하여 디...
삼성전자가 저시력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각 보조 솔루션 ‘릴루미노’ 30여대를 경기도시각장애인복지관과 송승환 배우겸 감독에게 기증했다. 릴루미노는 글래스 타입의 웨어러블 기기로 스마트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인 '릴루미노 앱'과 결합해 저시력 장애인의 일상 생활을 보조하는 기기다....
[IT동아 정연호 기자] “50대 정도면 스마트폰을 많이 쓰기 때문에 키오스크 사용에 큰 어려움을 느끼진 않는다. 다만, 키오스크가 복잡하면 메뉴를 찾는 게 어렵다. 할인, 카드 결제, 현금 결제 등의 복잡한 기능도 사용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50대 여성인 A씨는 최근 무인계산기를 뜻하는 키오스...
【 기자 】 30대 직장인 임동준 씨. 서울시 교통 앱을 이용할 때마다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 인터뷰 】 임동준 / 서울시 종로구 "이게 지금 버튼인지 체크 상자인지 지금 컨트롤(상태)이 뭔지를 모르니까 이게 눌러도 체크가 됐는지 안 됐는지 그걸 알 수가 없어요." 메뉴가 이미...
최근 한 시각장애인이 플레이스테이션으로 출시된 '갓 오브 워 라그라로크(God of War Ragnarök)'를 플레이해 화제를 모았다. 게임에 탑재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접근성 기능을 활용해 게임을 즐겼던 것으로, 게임 내 많은 작업이 자동화되고 버튼 입력이 단순해져 정확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쉽게 게...